본문바로가기 메인메뉴바로가기

교과안내

항공서비스학과는 글로벌 인재와 서비스 인재 양성을 통하여 항공서비스 전문가로서의 교육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대표교과목

항공서비스경영 (Airline Service Management)

4차 산업혁명과 AI 접목 추세 등의 경영환경 변화에 따른 국내외 항공사들의 항공서비스경영에 대한 전반적인 개요를 비롯하여 국제운송의 환경 변화와 범세계적 제휴그룹 및 빅데이터를 활용한 고객관계관리(CRM), 공항서비스의 인공지능 스마트 시스템 구축, 항공사의 업무와 조직, 객실업무와 객실승무원의 역할 등 항공서비스에 대한 폭넓은 이해와 전문적 지식을 학습하며 향후 국내외 주요항공사에 취업하여 이를 적용할 수 있는 직무능력의 기초 핵심역량을 갖추도록 한다.


항공운송실무 (Practical Air Traffic Service)

기내서비스와 함께 항공사의 가장 중요한 서비스인 공항서비스의 전반적인 규정과 업무의 흐름을 이해함으로써 항공사에서 필요로 하는 항공운송실무 능력을 함양한다. 이를 위해 제반 운송규정, 특수고객업무처리, 수하물 처리규정, 램프 장비에 대한 이해, 출입국절차, 운항허가절차, 항공약어 등을 습득하여 공항서비스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기본적인 실무능력을 함양한다.


항공기객실구조 및 안전보안 (Aircraft Cabin Structure & Flight Safety and Security)

국내외 항공사에서 현재 운항하고 있는 다양한 항공기에 대한 지식 함양한다. 항공사 객실승무원의 비행업무 절차를 이해하여 미래의 객실승무원로서 직무능력을 배양한다. 항공기 객실구조의 이해, 안전 DEMO, 비행 안전, 보안, 비상탈출, 착수, 기종에 따른 Door Operation, 기내 비상장비, 응급처치 등에 관한 전문지식을 익힌다. 이러한 전공기초를 바탕으로 실무능력을 함양해 나간다.


항공객실서비스실무 (In-Flight Service Practice)

항공사 객실승무원의 직무에 대하여 비행전 브리핑에서 승객하기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직무를 이해하고 습득하여 전문성을 갖추어 나간다. 객실승무원의 업무를 비행 전 준비, 항공기 탑승 후 이륙 전 준비, 기내 특별서비스 용품, 탑승 승객 안내, 특수고객 지원하기, 승객탑승 후 이륙 전 업무, 비행 중 안전 및 보완, 비행중 기내서비스, 비행 중 응급환자 대처, 착륙 전 준비, 착륙 후 업무 사항, 승객하기 후 관리로 나누어 학습하고 기내서비스를 실습함으로 객실승무원의 직무를 익힌다.


항공관광실무영어 (Practical Airline and Tourism English)

항공관광 실무영어로 항공예약, 항공기 탑승, 항공서비스영어, 공항, 호텔, 해외에서 관관통역 업무 시에 사용하는 실용영어를 다양한 사례를 접함으로 항공관광 영어를 익히는데 목적이 있다. 학생들은 실무영어 연습과 기내서비스 role play, 서비스영어 시현 등을 통해서 항공관광실무 영어를 익히고 영어 구술 능력을 키우는 것을 목표로 한다. 다이얼로그 음원을 이용하여 최대한 회화를 연습하고 암기와 롤플레이, 기내서비스 실습을 통해서 다양한 서비스 현장에서의 항공관광영어를 익힌다.


항공중국어초급Ⅰ (Airline Chinese-Beginner’s LevelⅠ)

한국의 항공사는 FSC는 물론 LCC 역시 지리적인 위치로 중국노선의 비중이 매우 높고 외국인 탑승객 중 중국인이 차지하는 비율이 매우 높은 관계로 항공사 승무원은 반드시 기본적인 중국어를 습득해야 하며 항공사의 객실승무원 채용에 있어서 가점을 부여하는 등 중국어는 항공사에서 객실승무원에게 요구하는 가장 중요한 제2외국어이다. 이에 따라 본 과목에서는 중국어의 발음, 어법, 말하기, 쓰기 등의 기초를 습득한다. 항공 객실에서 일어날 수 있는 기본적인 상황에서 대처할 수 있는 수준의 기본적인 중국어를 습득한다.


서비스커뮤니케이션 (Service Communication)

본 교과는 전공필수로서 항공사 고객서비스에 주요한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과 언어적 커뮤니케이션, 스피치 기법을 학습하며 항공사와 호텔 등 서비스조직 현장에서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을 할 수 있는 실무능력을 함양시키고 에어부산을 비롯하여 주요 호텔 지원 시에 가산점을 부여하는 서비스 부문 최상위 CS Leaders 관리사(Customer Satisfaction) 국가공인자격증 취득에 중점을 두고 향후 항공사, 호텔 등 다양한 서비스기업과 삼성 등 주요 기업/공기업의 취업에 경쟁력을 갖추도록 한다.


항공서비스매너 (Airline Service Manner)

항공사 등 서비스조직의 고품질 서비스 성과는 주로 서비스현장 근무에 임하는 서비스제공자의 질적인 서비스매너에서 결정된다. 이에 따라 항공서비스 전공자로서의 고객서비스 매너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용모와 자세, 태도 등 매너의 실현력을 학습하며 항공사와 호텔 등 주요 서비스산업이 요구하는 서비스현장 실무능력을 함양시켜 향후 취업경쟁력을 갖추도록 한다.


AI항공사면접Ⅰ(AI Airline InterviewⅠ)

AI자소서와 AI면접 준비가 성공적인 취업에 필수적인 시대가 된 오늘날 국내외 항공사와 호텔 등 주요 기업들이 자기소개서 / 인적성 평가 / 면접에 AI 또는 화상 면접을 도입하고 추세이다. 항공사 면접 심화 과정으로서 AI 면접의 기본 개념을 이해하고, 기업분석을 통한 STAR 기법의 자소서와 지원서류 작성, SWOT 분석을 통한 면접 역량의 개선, 항공사 기출 문제 중심의 실전 대면 면접과 함께 AI 모의 면접의 실습을 병행한다. 이를 통해 항공사와 호텔, (공)기업 등의 성공적인 취업에 만반을 기하기 위해 전체적인 면접 포트폴리오도 구성한다.


항공융합서비스 (Airline Converging Service)

항공사를 비롯하여 공항, 호텔, 관광, 면세점, 카지노, 골프클럽, 금융서비스와 일반기업 비서직 등에 다양한 부문의 취업을 살펴보고 취업역량 SWOT 분석을 통한 자신의 취업 목표 설정과 성공적인 취업을 위한 프로젝트를 수립하여 자기관리를 통한 취업 핵심 역량을 갖추도록 한다. 또한 수강생들의 취업 준비 니즈와 학습수용력에 따라 강의 내용이 일부 변경될 수도 있다.

top